-
Crash Course - Electronic Computing프로그래밍 2020. 11. 13. 16:19
www.youtube.com/watch?v=LN0ucKNX0hc&list=PLH2l6uzC4UEW0s7-KewFLBC1D0l6XRfye&index=3
Mark One과 같은 컴퓨터는 relay를 가지고 있어서 기계적으로 작동했지만, 진공관(vacuum tube) 같은 경우 전기 흐름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문제가 적었다. 또한 속도가 훨씬 빨랐다. 다만 전구처럼 충격에 약하고 닳을 수 있다는 점이 약점이었다. 또한 텔레비전 같은 경우 하나의 진공관만 사용하면 되지만 컴퓨터는 많은 수의 진공관을 필요로 했다.
에니악 같은 경우 실질적으로 첫 프로그래밍이 가능한 컴퓨터라고 할 수 있다. 그 전 버전의 컴퓨터도 프로그래밍이 가능하다고 할 수 있지만 그 컴퓨터는 회로를 구성함으로써 프로그래밍을 했기 때문에 에니악을 첫 프로그래머블 컴퓨터라고 한다.
에니악도 진공관을 사용했는데, 점차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정보를 저장하는 새로운 장치가 필요했다. 이것이 바로 트랜지스터가 되었다. 진공관은 유리로 만들어졌고 부품들이 손상되기 쉬운 반면, 트랜지스터는 강한 고체로 이루어져 있다는 장점을 가졌다.
'프로그래밍' 카테고리의 다른 글
HTML & CSS (0) 2020.11.18 Backend 개발 단계 (0) 2020.11.14 Codecademy: Javascript Browser Compatibility and Transpilation (0) 2020.10.30 CRUD (0) 2020.10.29 Codecademy - Javascript Basics (0) 2020.10.26